NEXT!_Backcast in 가나자와
for 10 Scenes of 2024 & 2025
2023년 SBS 라디오 ‘책하고 놀자’를 통해 진행해온 ‘김호의 서바이벌 키트’ 코너를 마무리하면서 10년간 소개한 수백 권의 책 중에서 한 권을 꼽는다면 무엇일지 생각해보았습니다. 답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2012년 12월 23일,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산 <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How will you measure your life) >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이진원 옮김)는 지금까지도 매년 12월이면 반복해 읽으며 한 해를 돌아보고 새해를 그려보는 ‘텍스트북’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 하버드 인생학 특강 >이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어 출간되어 있습니다.

2024년 12월은 이 책을 좀 더 새로운 곳에서 다른 방식으로 읽고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온라인에서 3회에 걸쳐 6시간 온라인 워크숍을 하고, 일본 가나자와에서 8시간의 오프라인 워크샵을 진행합니다. 2024년 가장 기억에 넘는 10가지 장면, 2025년 가장 기대되는 10가지 장면을 정리하며 한 해를 마무리하게 됩니다.

‘작은 교토’라고 불리는 가나자와는 아름다운 자연과 풍부한 문화적 유산으로 유명한 일본 호쿠리쿠 지역의 중심지입니다. 일본 3대 정원 중 하나인 겐로쿠엔, 지역 재생의 좋은 사례인 21세기 미술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공도서관인 우미미라이 도서관 등을 볼 수 있고 금박과 칠기, 도자기 등 공예의 오랜 전통을 이어가는 도시지요. 겨울이 되면 더 맛있어지는 신선한 해산물과 채소를 주재료로 하는 ‘가가요리(加賀料理)’의 중심지이기도 합니다. 워크숍과 함께 한 해를 정리할 좋은 연말 여행지가 될 것입니다.


참고: 적어도 저희에게 ‘코칭’이란 자발적 의지가 없는 사람에게 의지를 불어넣는 것이 아닙니다. 코칭은 자발적으로 스스로 변화해보겠다는 의지가 있는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도록 돕는 활동입니다. 또한 팀 코칭은 함께 참가하는 사람들과 서로 심리적 안전감을 공유하고 대화를 나누며 함께 win-win의 결과를 만들어내려는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

가나자와.jpg
KakaoTalk_20240608_142314637.jpg
NEXT!_Backcast in 가나자와
for 10 Scenes 
(일부 계획은 이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Session 1: 

핵심질문: 
나의 동기(motivation) 요인은 무엇인가?
나는 ‘계획한 기회’와 ‘우연한 기회’를 어떻게 마주하고 있나?
혹시 내 삶의 만족과 불만족을 만들어내는 요인에 대해 착각하고 있지는 않나요? 불만을 줄이면 만족을 높인다고 생각하나요? 워크숍 시작으로 나의 동기요인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사전과제: HER Report의 Inquiry worksheet 작성
읽기과제: < 하버드 인생학 특강 > 1장 “무엇이 우리를 춤추게 하는가”; 2장 "의도적 전략과 우연한 기회를 잘 활용하는가?”


Session 2: 
핵심질문: 
내가 가진 자원은 무엇이고, 무엇을 위해 어떻게 쓰고 있나?
왜 사람들이 나를 고용해야 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나는 어떤 ‘경험의 학교’를 다니고 있나?

사람마다 가진 자원(돈, 시간, 에너지)은 다릅니다. 하지만 이 자원은 각자 특성이 다릅니다. 돈은 저축이 가능하고 나이와 상관없이 한꺼번에 벌거나 쓸 수 있지만, 시간은 저축도, 한꺼번에 벌거나 쓰는 것도 불가능하지요. 나는 어떤 자원 배분 전략을 구사하고 있나요? 아니, 전략이 있나요? 자원 배분을 통해 내가 고용될 이유를 명확히 찾기 위해서는 대학원이 아닌 자기만의 ‘경험의 학교’를 만들고 다녀야 합니다. 나만의 경험의 학교 커리큘럼은 무엇인가요?

사전과제: HER Report의 Inquiry worksheet 작성
읽기과제: < 하버드 인생학 특강 > 5장 “상대를 이해하고 헌신하는가”; 7장 “경험의 학교에 입학시켰는가”


Session 3: 
핵심질문: 
내가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의도는 무엇인가?
내 삶과 일의 목적은 무엇인가?

어떤 사람은 수십 년을 산 뒤에 자신의 삶의 목적과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돌아보며 궁금해합니다. 이미 시간이 흘러간 뒤에는 무언가 시도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습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삶을 살아가는 의도와 목적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면서 하루를 시작하고 자신이 가진 자원을 목적에 맞게 ‘투자’합니다. 이 시간에는 나의 목적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오프라인 워크샵의 오리엔테이션도 진행하게 됩니다.

사전과제: HER Report의 Inquiry Worksheet 작성
읽기과제: < 하버드 인생학 특강 > 마치며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Session 4: Street Wisdom Walkshop 
핵심질문: 
올해 나의 10가지 장면은? 
새해 나의 10가지 장면은? 

가나자와(매년 장소는 변경됩니다)의 길거리를 다니며 내 삶의 변화를 만들 아이디어를 떠올려보는 Street Wisdom Walkshop 세션입니다. 스트리트 위즈덤 방법론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한 뒤, 참가자 각자는 자유롭게 자기만의 일정과 계획을 갖고 Street Wisdom 여정을 떠납니다. 

*스트리트 위즈덤(Street Wisdom)이란? (참고: 김호 코치의 관련 칼럼)
•영국의 데이비드 펄(David Pearl) 2013년 제안; 오픈 소스로 누구나 활용하도록 개방, 전세계 80여개 국에서 비영리 사회 운동으로 확산
•바쁘게 걸어다니는 길거리를 의도적으로 오감을 충분히 활용 천천히 걸으며, 내면의 질문과 연결하여 아이디어/영감의 소스로 활용
•스트리트 위즈덤 참여시 참가자 각자 자신의 안전을 스스로 책임지고 참여; 걱정되는 부분은 주최측과 사전 상의 (다른 방법 제시 가능)


Session 5: 
핵심질문: 
올해 나의 10가지 장면은? 
새해 나의 10가지 장면은? 

새해를 열흘 정도 앞둔 이 때 일본 가나자와에 모여 올해의 10가지 장면은 무엇이었고, 1년 뒤 내가 돌아보고 싶은 10가지 장면을 살펴봅니다. 이를 구조화하고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고 나누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사전과제: HER Report의 Inquiry Worksheet 작성
읽기과제: < 하버드 인생학 특강 > 그 동안 읽었던 장들을 다시 읽어보기.